미르코 필로포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르코 필리포비치는 크로아티아 출신의 격투기 선수로, 킥복싱과 종합격투기에서 모두 활약했다. 1974년생으로, 킥복싱에서는 K-1 월드 그랑프리 2012 우승, 종합격투기에서는 프라이드 무제한급 그랑프리 2006 우승, RIZIN 무제한급 그랑프리 2016 우승을 차지했다. UFC, 프라이드, 라이진 등 다양한 단체에서 활동했으며, 강력한 왼발 하이킥을 주특기로 '크로캅'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다. 2011년 은퇴했다가 복귀하기도 했으며, 2019년 뇌졸중으로 최종 은퇴했다. 또한, 2003년부터 2008년까지 크로아티아 국회의원으로 정치 활동을 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의 스포츠인 출신 정치인 - 산드라 엘카세비치
크로아티아의 원반던지기 선수이자 정치인인 산드라 엘카세비치는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 도핑 논란, 개인 최고 기록 경신, 의회 의원 당선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크로아티아의 지중해 게임 동메달리스트 - 지오바니 체르노고라즈
크로아티아의 사격 선수 지오바니 체르노고라즈는 2012년 런던 올림픽 남자 트랩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올림픽 메달리스트이다.
미르코 필로포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미르코 필로포비치 |
출생 이름 | 미르코 필리포비치 |
별칭 | 크로캅 |
국적 | 크로아티아 |
출생일 | 1974년 9월 10일 |
출생지 | 유고슬라비아 SR 크로아티아 빈코브치 |
키 | 188 cm |
체중 | 106 kg |
체급 | 헤비급 |
리치 | 185 cm |
격투 스타일 | 킥복싱 |
스탠스 | 사우스포 |
파이팅 지역 | 자그레브, 크로아티아 |
팀 | 크로캅 스쿼드 짐, 타이거 짐, 보스 짐 |
트레이너 | 이반 히폴리테, 스티페 드르비시, 마리오 믈리나리치 |
랭크 | 태권도 검은띠 |
활동 기간 | 1996–2003, 2012–2014 (킥복싱) 2001–2019 (MMA) |
아마추어 복싱 기록 | 78승 8패 |
직업 | 특수부대 장교, 정치인 |
배우자 | 클라우디아 필리포비치(2002년) |
자녀 | 2명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킥복싱 기록 | |
승리 | 26 |
KO 승리 | 13 |
패배 | 8 |
KO 패배 | 4 |
종합격투기(MMA) 기록 | |
KO 승리 | 30 |
서브미션 승리 | 4 |
판정 승리 | 4 |
KO 패배 | 6 |
서브미션 패배 | 2 |
판정 패배 | 3 |
무승부 | 2 |
무효 | 1 |
아마추어 복싱 기록 | |
승리 | 78 |
KO승 | 31 |
패배 | 8 |
정치 경력 | |
직책 | 크로아티아 의회 의원 |
임기 시작 | 2003년 12월 23일 |
임기 종료 | 2008년 1월 11일 |
선거구 | 제1선거구 |
대통령 | 스티에판 메시치 |
총리 | 이보 사나데르 |
소속 정당 | 무소속 |
기타 정당 |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 (SDP) |
2. 어린 시절 및 배경
미르코 필로포비치는 1974년 9월 10일 당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 속해 있던 크로아티아 동부의 빈코프치에서 태어났다. 노동자 계급 가정에서 세 살 위인 누나와 함께 자랐다. 어린 시절 유고슬라비아 분쟁을 겪으며 친구들이 잇따라 죽는 혹독한 경험을 했다. 그는 "강한 남자가 되어 모두를 지키고, 더 이상 아무도 죽게 하지 않겠다"고 다짐하며 격투기를 시작하게 되었다고 회고한다.[175]
미르코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현 크로아티아) 빈코브치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민족 분쟁으로 친구들이 죽는 것을 보며 격투기를 배우기 시작했다. 그는 "전쟁에 대한 분노로 몸을 단련했고, 강해져서 모두를 지키고 싶었다"고 회고한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 아버지가 만들어준 장비로 가라테, 킥복싱 등을 독학했고, 바벨을 이용한 웨이트 트레이닝도 병행했다.
처음에는 전문 체육관에 다닐 경제적 여유가 없어, 아버지의 권투 장비와 아령으로 훈련을 시작했다. 철도 회사 전기 기사였던 아버지는 아들을 위해 모래와 솜으로 샌드백을 직접 만들었고, 폐철도 레일을 이용해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수 있도록 도왔다.[11] 7세에 태권도 정식 훈련을 시작했고, 나중에는 가라테를 수련했다.[12]
19세에 크로아티아 육군에 입대하여 무선 통신병으로 복무하던 중, 크로아티아 국가 킥복싱 팀과 훈련할 수 있도록 요청하여 허가를 받았다. 이후 프로 킥복싱 선수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13]
3. 격투기 경력
7세에 태권도를 시작했고, 이후 가라테를 수련했지만 유고슬라비아 분쟁으로 중단했다. 분쟁이 끝난 후 훈련을 재개했고, 18세에 통신병으로 크로아티아군에 입대했다. 군에서 킥복싱 국가대표팀 훈련을 희망하자 상관은 그의 재능을 알아보고 훈련을 허락하며 격려했다. 19세에 킥복싱을 시작했다.
미르코는 전쟁의 참상을 겪은 후 인터뷰에서 "전쟁은 어리석고 슬플 뿐"이라며 전쟁에 대한 혐오감을 드러냈다. 밥 샙과의 경기 전 기자회견에서는 이라크 전쟁에 대한 언급에 눈물을 흘리며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175]
이후 스승과 결별하고 3년간 일본에서 활동을 중단했다. 아마추어 복싱 선수로 활동하며 국내 챔피언 3회, 지중해 게임 동메달, 군인 세계 선수권 대회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7년에는 1997년 세계 복싱 선수권 대회에 크로아티아 대표로 출전했다. 또한 테러 대응 특수부대에서 6년간 복무했다.
3. 1. 킥복싱 경력
1996년, 미르코는 동포 브랑코 치카티치(Branko Cikatić)의 뒤를 이어 킥복싱 선수로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3] 프로 전향 전, 아마추어 권투에서 48승 8패(KO 31회)의 기록을 세웠다.[3] 1996년 3월 10일, K-1 데뷔전에서 제롬 르 밴너를 꺾었지만,[176] 5월 6일 다음 경기에서 어네스트 후스트에게 패했다.[14] 이후 권투와 법 집행 직무에 집중하며 세 차례 전국 아마추어 권투 챔피언이 되었다.[14]
1999년 4월 25일, K-1에 복귀하여 얀 "더 자이언트" 노르키야를 KO로 꺾었다.[14] 10월 5일, K-1 월드 GP 1999 개막전에서 마이크 베르나르도(Mike Bernardo)를 1라운드 KO로 꺾고, 12월 5일 K-1 월드 GP 1999 결승전에서 무사시와 샘 그레코(Sam Greco)를 꺾었으나, 어니스트 호스트에게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2000년 6월 3일, 앤디 훅(Andy Hug)의 은퇴 경기 상대를 맡았으나 판정패했다.[175] 12월 10일, K-1 월드 GP 2000 결승전 8강에서 어니스트 호스트와 연장까지 가는 접전을 벌였으나 판정패했다.
2001년 6월 16일, K-1 월드 GP in Melbourne에서 마이클 맥도널드에게 KO패를 당했다.[17]
2012년, 킥복싱으로 복귀하여[189] 3월 10일 레이 세포를 꺾고,[190] 5월 27일 로렌 하비에르 호르제를 2라운드 KO로, 10월 14일 랜디 블레이크를 판정으로 꺾었다. 2013년 3월 15일, K-1 월드 그랑프리에서 우승을 차지했다.[190]
2014년, GLORY와 계약을 맺고, 3월 8일 레미 본야스키에게 판정패했지만,[191] 6월 21일 자렐 밀러에게 판정승을 거두었다.
경기일자 | 상대 | 결과 | 내용 | 대회 |
---|---|---|---|---|
2014년 3월 9일 | 레미 본야스키 | 패 | 3R 판정 | 글로리 14 |
2012년 10월 14일 | 랜디 블레이크 | 승 | 3R 판정 | K-1 월드 GP 2012 final 16 |
2012년 5월 27일 | 로렌 하비에르 호르제 | 승 | 2R KO | K-1 월드 Max 2012 final 16 |
2012년 3월 10일 | 레이 세포 | 승 | 3R 판정 | Cro-cop Final Fight |
2003년 3월 30일 | 밥 샙 | 승 | 1R KO | K-1 월드 GP 2003 in Saitama |
2002년 7월 14일 | 레미 본야스키 | 승 | 2R TKO | K-1 월드 GP 2002 in Fukuoka |
2002년 3월 3일 | 마크 헌트 | 승 | 5R 판정 | K-1 월드 GP 2002 in Nagoya |
2002년 1월 27일 | 야나기사와 류지 | 승 | 1R TKO | K-1 Rising 2002 |
2001년 6월 16일 | 마이클 맥도널드 | 패 | 1R KO | K-1 월드 GP 2001 in Melbourne |
2001년 3월 17일 | 피터 아츠 | 승 | 5R 판정 | K-1 Gladiactors 2001 |
2001년 1월 30일 | 토미히라 타츠후미 | 승 | 2R TKO | K-1 Rising 2001 |
2000년 12월 10일 | 어네스트 후스트 | 패 | 3R 판정 | K-1 월드 GP final 2000 |
2000년 10월 9일 | 마이크 베르나르도 | 패 | 1R TKO | K-1 월드 GP 2000 in Fukuoka |
2000년 10월 9일 | 글라우베 페이토자 | 승 | 3R 판정 | K-1 월드 GP 2000 in Fukuoka |
2000년 10월 9일 | 아마다 히로미 | 승 | 3R 판정 | K-1 월드 GP 2000 in Fukuoka |
2000년 9월 1일 | 스튜어트 그린 | 승 | 1R KO | K-1 월드 GP 2000 European |
2000년 6월 3일 | 앤디 훅 | 패 | 5R 판정 | K-1 Fight night 6 |
2000년 3월 19일 | 아마다 히로미 | 승 | 4R KO | K-1 Burning 2000 |
1999년 12월 5일 | 어네스트 후스트 | 패 | 3R KO | K-1 월드 GP Final 1999 |
1999년 12월 5일 | 샘 그레코 | 승 | 2R KO | K-1 월드 GP Final 1999 |
1999년 12월 5일 | 모리 아키오 | 승 | 2R KO | K-1 월드 GP Final 1999 |
1999년 10월 5일 | 마이크 베르나르도 | 승 | 1R KO | K-1 월드 GP Final 16 1999 |
1999년 6월 20일 | 자빗 바이라미 | 패 | 3R 판정 | K-1 Braves 1999 |
1999년 6월 20일 | 리키 니클슨 | 승 | 1R KO | K-1 Braves 1999 |
1999년 4월 25일 | 얀 노르키아 | 승 | 4R KO | K-1 Revenge 1999 |
1996년 5월 6일 | 어네스트 후스트 | 패 | 3R KO | K-1 월드 GP Final 1996 |
1996년 3월 10일 | 제롬 르 밴너 | 승 | 5R 판정 | K-1 월드 GP Final 16 1996 |
3. 2. 종합격투기 경력
2001년, 미르코는 개인적인 도전과 K-1의 낮은 연봉에 대한 불만을 이유로 종합격투기 단체 프라이드 FC에서 싸우기 시작했다. 프라이드 데뷔전에서 후지타 카즈유키를 TKO로 꺾고, PRIDE.17에서 타카다 노부히코와 무승부를 기록했다. INOKI BOM-BA-YE 2001에서 나가타 유지를 1라운드 21초 만에 KO로 이겼다.2002년에는 PRIDE.20에서 반데라이 시우바와 무승부를 기록했고, Dynamite!에서 사쿠라바 카즈시를 TKO로 이겼으며, INOKI BOM-BA-YE 2002에서 후지타 카즈유키와의 재대결에서 판정승을 거두었다.
2003년에는 히스 헤링을 3분 만에 제압했고,[19] 이고르 보브찬친을 KO로 이겼으며,[20] 도스 카라스 주니어를 46초 만에 KO로 제압했다.[21] 그러나 PRIDE - Final Conflict 2003에서 안토니우 호드리구 노게이라에게 패했다.
2004년에는 케빈 랜들맨에게 KO패를 당했지만, 이후 7연승을 기록했다.
2005년에는 표도르 에멜리아넨코와의 프라이드 헤비급 챔피언십에 도전했으나 판정패했다.
2006년에는 프라이드 오픈웨이트 그랑프리에서 조쉬 바넷과 반다레이 시우바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MMA 커리어 첫 벨트를 획득했다.
2007년에는 UFC로 이적하여 UFC 67에서 에디 산체스를 TKO로 꺾었지만, UFC 70에서 가브리엘 곤자가에게 KO패,[175] UFC 75에서 칙 콩고에게 판정패했다.
2008년에는 DREAM으로 이적하여 DREAM.1에서 미즈노 타츠야를 TKO로 꺾고, DREAM.6에서 알리스타 오브레임과의 경기에서 무효 경기를 기록했으며, Dynamite!! 〜勇気のチカラ2008〜에서 최홍만을 KO로 이겼다.
2009년에는 UFC로 복귀하여 UFC 99에서 무스타파 알 투르크를 TKO로 꺾었지만, UFC 103에서 주니어 도스 산토스에게 패하며 은퇴를 시사했다.[182][183]
2010년에는 UFC 110에서 앤서니 페로시를 TKO로, UFC 115에서 패트릭 배리를 서브미션으로 꺾었으나, UFC 119에서 프랭크 미어에게 KO패를 당했다.
2011년에는 UFC 128에서 브랜든 샤웁에게 KO패, UFC 137에서 로이 넬슨에게 TKO패하며 은퇴를 선언했다.
2012년에는 MMA에 복귀하여 알렉세이 올리이닉에게 패했다.
2014년에는 이시이 사토시를 꺾고 IGF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2015년에는 UFC로 복귀하여 UFC Fight Night: Gonzaga vs. Cro Cop 2에서 가브리엘 곤자가를 TKO로 꺾고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를 수상했지만, 이후 도핑 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을 보이며 2년간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193][194]
2016년에는 RIZIN으로 이적하여 무차별급 그랑프리에서 킹 모,[196] 바루토, 아미르 아리아크바리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018년에는 벨라토르 MMA와 계약했다.
2019년에는 벨라토르 데뷔전인 Bellator 216에서 로이 넬슨과의 경기에서 승리한 후 뇌졸중으로 은퇴를 발표했다.
경기일자 | 상대 | 결과 | 내용 | 대회 |
---|---|---|---|---|
2019년 2월 16일 | 로이 넬슨 | 승 | 3R 판정 | Bellator 216 |
2016년 12월 31일 | 아미르 아리아크바리 | 승 | 1R KO | RIZIN FIGHTING WORLD GRAND-PRIX 2016 무차별급 토너먼트 FINAL ROUND |
2016년 12월 29일 | 킹 모 | 승 | 2R TKO | RIZIN FIGHTING WORLD GRAND-PRIX 2016 무차별급 토너먼트 2nd ROUND |
2016년 9월 26일 | 밍 헌만 | 승 | 1R 서브미션 | RIZIN FIGHTING WORLD GRAND-PRIX 2016 무차별급 토너먼트 개막전 |
2015년 4월 11일 | 가브리엘 곤자가 | 승 | 3R 3분 30초 TKO | UFC Fight Night: Gonzaga vs. Cro Cop 2 |
2011년 10월 29일 | 로이 넬슨 | 패 | 3R 1분 30초 KO | UFC 137 - Penn vs. Diaz |
2011년 3월 19일 | 브랜든 샤웁 | 패 | 3R 3분 44초 KO | UFC 128 - Shogun vs Jones |
2010년 9월 26일 | 프랭크 미어 | 패 | 3R 4분 2초 KO | UFC 119 - MIR vs CROCOP |
2010년 6월 13일 | 패트릭 배리 | 승 | 3R 4분 30초 서브미션 | UFC 115 - LIDDELL vs FRANKLIN |
2010년 2월 21일 | 앤서니 페로쉬 | 승 | 2R 종료 TKO | UFC 110 - NOGUEIRA vs VELASQUEZ |
2009년 9월 20일 | 주니오르 두스 산투스 | 패 | 3R 2분 KO | UFC 103 - FRANKLIN vs BELFORT |
2009년 6월 13일 | 무스타파 알 투르크 | 승 | 1R 3분 6초 KO | UFC 99 - The Comeback |
2008년 12월 31일 | 최홍만 | 승 | 1R 6분 32초 TKO | K-1 다이너마이트 2008 |
2008년 9월 23일 | 알리스타 오브레임 | 무효 경기 | 1R 크로캅 부상 | Dream 6 |
2008년 3월 15일 | 미즈노 타츠야 | 승 | 1R 56초 KO | Dream 1 |
2007년 9월 8일 | 칙 콩고 | 패 | 3R 판정 | UFC 75 - Champion vs. Champion |
2007년 4월 21일 | 가브리엘 곤자가 | 패 | 1R 4분 51초 KO | UFC 70 - Nations Collide |
2007년 2월 3일 | 에디 산체스 | 승 | 1R 4분 33초 TKO | UFC 67 - All or Nothing |
2006년 9월 10일 | 조쉬 바넷 | 승 | 1R TKO | PRIDE - Final Conflict Absolute |
2006년 9월 10일 | 반다레이 실바 | 승 | 1R 5분 26초 KO | PRIDE - Final Conflict Absolute |
2006년 7월 1일 | 요시다 히데히코 | 승 | 1R 7분 38초 TKO | PRIDE - Critical Countdown Absolute |
2006년 5월 5일 | 미노와 이쿠히사 | 승 | 1R 1분 10초 TKO | PRIDE - Total Elimination Absolute |
2005년 12월 31일 | 마크 헌트 | 패 | 3R 판정 | PRIDE - Shockwave 2005 |
2005년 10월 23일 | 조쉬 바넷 | 승 | 3R 판정 | PRIDE 30 - Fully Loaded |
2005년 8월 28일 | 표도르 에멜리아넨코 | 패 | 3R 판정 | PRIDE - Final Conflict 2005 |
2005년 6월 26일 | 이브라힘 마고메도프 | 승 | 1R 3분 53초 KO | PRIDE - Critical Countdown 2005 |
2005년 2월 20일 | 마크 콜먼 | 승 | 1R 3분 40초 KO | PRIDE 29 - Fists Of Fire |
2004년 12월 31일 | 케빈 랜들맨 | 승 | 1R 41초 길로틴 초크 | PRIDE - Shockwave 2004 |
2004년 10월 31일 | 조쉬 바넷 | 승 | 1R 41초 조쉬 바넷 부상 | PRIDE 28 - High Octane |
2004년 8월 15일 | 알렉산더 에멜리아넨코 | 승 | 1R 2분 9초 KO | PRIDE - Final Conflict 2004 |
2004년 7월 19일 | 오야마 슌고 | 승 | 1R 1분 TKO | PRIDE - Bushido 4 |
2004년 5월 23일 | 카네하라 히로미츠 | 승 | 2R 판정 | PRIDE - Bushido 3 |
2004년 4월 25일 | 케빈 랜들맨 | 패 | 1R 1분 57초 KO | PRIDE - Total Elimination 2004 |
2004년 2월 15일 | 야마모토 요시히사 | 승 | 1R 2분 12초 TKO | PRIDE - Bushido 2 |
2004년 2월 1일 | 론 워터맨 | 승 | 1R 1분 37초 TKO | PRIDE 27 - Inferno |
2003년 11월 9일 | 안토니우 호드리구 노게이라 | 패 | 2R 1분 45초 암바 | PRIDE - Final Conflict 2003 |
2003년 10월 5일 | 알베르토 로드리게즈 | 승 | 1R 46초 KO | PRIDE - Bushido 1 |
2003년 8월 10일 | 이고르 보브찬친 | 승 | 1R 1분 29초 TKO | PRIDE - Total Elimination 2003 |
2003년 6월 8일 | 히스 헤링 | 승 | 1R 3분 17초 TKO | PRIDE 26 - Bad to the Bone |
2002년 12월 31일 | 후지타 카즈유키 | 승 | 3R 판정 | Inoki Bom-Ba-Ye 2002 - K-1 vs. Inoki |
2002년 8월 28일 | 사쿠라바 카즈시 | 승 | 2R 종료 TKO | PRIDE - Shockwave |
2002년 4월 28일 | 반다레이 실바 | 무승부 | 5R 판정 | PRIDE 20 - Armed and Ready |
2001년 12월 31일 | 나가타 유지 | 승 | 1R 21초 TKO | Inoki Bom-Ba-Ye 2001 - K-1 vs. Inoki |
2001년 11월 3일 | 타카다 노부히코 | 무승부 | 3R 종료 | PRIDE 17 - Championship Chaos |
2001년 8월 19일 | 후지타 카즈유키 | 승 | 1R 39초 TKO | K-1 - Andy Hug Memorial |
3. 3. 주요 경기
날짜 | 대회 | 상대 | 결과 | 비고 |
---|---|---|---|---|
2001년 8월 19일 | K-1 ANDY MEMORIAL 2001 | 후지타 카즈유키 | TKO 승 | K-1 vs 이노키 군 대항전, 종합격투기 데뷔전 |
2001년 11월 3일 | PRIDE.17 | 타카다 노부히코 | 무승부 | PRIDE 첫 출전 |
2001년 12월 31일 | INOKI BOM-BA-YE 2001 | 나가타 유지 | KO 승 | |
2002년 4월 28일 | PRIDE.20 | 반데라이 시우바 | 무승부 | 특별 규칙 |
2002년 8월 28일 | Dynamite! | 사쿠라바 카즈시 | TKO 승 | |
2002년 12월 31일 | INOKI BOM-BA-YE 2002 | 후지타 카즈유키 | 판정승 | |
2003년 6월 8일 | PRIDE.26 | 히스 헤링 | TKO 승 | |
2003년 8월 10일 | PRIDE GRANDPRIX 2003 개막전 | 이골 보브찬친 | KO 승 | |
2003년 11월 9일 | PRIDE GRANDPRIX 2003 결승전 | 안토니오 호드리고 노게이라 | 탭아웃 패 | PRIDE 헤비급 잠정 챔피언 결정전 |
2004년 2월 1일 | PRIDE.27 | 론 워터맨 | KO 승 | |
2004년 4월 25일 | PRIDE GRANDPRIX 2004 개막전 | 케빈 랜들맨 | KO 패 | PRIDE 헤비급 GP 1회전 |
2004년 8월 15일 | PRIDE GRANDPRIX 2004 결승전 | 알렉산더 예멜리야넨코 | KO 승 | |
2004년 10월 31일 | PRIDE.28 | 조쉬 바넷 | TKO 승 | 어깨 탈구 |
2004년 12월 31일 | PRIDE 男祭り 2004 | 케빈 랜들맨 | 서브미션 승 | |
2005년 2월 20일 | PRIDE.29 | 마크 콜먼 | KO 승 | |
2005년 8월 28일 | PRIDE GRANDPRIX 2005 결승전 | 에밀리아넨코 표도르 | 판정패 | PRIDE 헤비급 챔피언전 |
2005년 10월 23일 | PRIDE.30 | 조쉬 바넷 | 판정승 | |
2005년 12월 31일 | PRIDE 男祭り 2005 | 마크 헌트 | 판정패 | |
2006년 5월 5일 | PRIDE 무차별급 그랑프리 2006 개막전 | 미노와맨 | TKO 승 | 1회전 |
2006년 7월 1일 | PRIDE 무차별급 그랑프리 2006 2nd ROUND | 요시다 히데히코 | TKO 승 | 2회전 |
2006년 9월 10일 | PRIDE 무차별급 그랑프리 2006 결승전 | 반데레이 시우바 | KO 승 | 준결승 |
2006년 9월 10일 | PRIDE 무차별급 그랑프리 2006 결승전 | 조쉬 바넷 | 탭아웃 승 | 결승, PRIDE 무차별급 그랑프리 우승 |
4. 정치 경력
미르코 크로캅은 애국자로 알려져 있으며, 2003년 11월 23일에 실시된 크로아티아 총선거에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초선 의원이 되었다.[205] 사보르(Sabor, 크로아티아 국회) 의원으로 4년간 활동했다.[205] 2004년 2월 13일에는 당시 일본의 내각총리대신 고이즈미 준이치로와 면담했다.[205]
5. 은퇴
2015년 11월 10일, 미르코는 자신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현역 은퇴를 발표했다. 이는 미국 반도핑 기구(USADA)의 반도핑 규정 위반으로 출전 정지 예비 처분을 받은 직후였다. 미르코는 어깨 부상 치료를 위해 성장호르몬 주사를 맞았으며, 성장호르몬이 금지 약물 목록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다른 치료 방법이 없었다고 밝혔다.[192]
2015년 11월 25일, USADA는 미르코에게 2년간의 출전 정지 처분을 내렸다. 이는 미르코가 경기 외 검사에서 인간 성장 호르몬(hGH) 사용을 스스로 인정했기 때문이다.[193][194]
이후 2016년 1월 8일, 크로아티아 언론은 미르코가 USADA로부터 약물 검사 결과가 모두 음성이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미르코의 인간 성장 호르몬 사용 및 소지 인정으로 인해 2년간의 출전 정지 처분은 유지되었다.[195]
6. 파이팅 스타일
미르코 크로캅은 킥복싱을 기반으로 한 강력한 타격 기술과 뛰어난 테이크다운 방어 능력을 갖춘 스트라이커였다. 특히 왼발 하이킥은 그의 주무기로, 빠르고 정확하며 예측 불가능한 궤적을 가지고 있어 많은 선수들을 KO시켰다.[35]
그의 파이팅 스타일은 복싱을 바탕으로 태권도와 킥복싱을 독자적으로 조합한 것이다. 시합 중에는 주로 왼발을 이용한 타격에 집중하며, 오른팔은 방어나 거리 유지에 사용한다. 왼발 하이킥과 미들킥을 사용하기 전에 다른 기술들을 포석으로 활용하는 전략을 구사하는데, 예를 들어 미들킥과 로킥으로 상대의 주의를 아래로 돌리고 가드가 내려간 틈을 타 왼발 하이킥을 날리거나, 상대에게 자신의 스트레이트 궤적을 익히게 한 후 위빙을 통해 상대의 머리가 기울어진 순간에 왼발 하이킥을 날리는 방법 등이 있다.
미르코의 왼발 하이킥은 상대의 시야 사각지대에서 빠르게 날아오기 때문에 피하기 어렵고, 큰 파괴력을 지닌다. 다만, 일정 간격이 확보되지 않으면 타격의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워 압박형 선수에게 약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UFC 후기에는 클린치 기술을 활용한 더티 복싱을 구사하고, 이시이 케이와의 훈련을 통해 이를 더욱 향상시켰다.
타격 방어는 가드보다는 스웨이와 스텝워크를 주로 사용하며, 헤비급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빠른 스피드를 자랑한다. 마크 헌트와 안토니오 호드리고 노게이라도 미르코의 스피드를 인정했다.
K-1 시절부터 스태미나 부족이 지적되었으나, 코 부상 수술 후 개선되었다. 파브리시오 베우둠을 주짓수 코치로 영입하여 서브미션 방어 능력을 향상시켰고, 태클 방어 기술도 빠르게 습득했다. K-1 시절부터 다리가 잡혀도 잘 넘어지지 않는 강한 허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테이크다운을 당해도 곧바로 크로스가드를 취하는 등 뛰어난 대응력을 보였다.
7. 논란
2015년 4월 11일, UFC 복귀전에서 가브리엘 곤자가를 상대로 TKO 승리를 거두었으나, 이후 도핑 문제가 불거졌다. 11월 28일 UFC Fight Night: Henderson vs. Masvidal에서 안토니 해밀턴과의 경기가 예정되어 있었지만, 미국 반도핑 기구(USADA)의 반도핑 규정 위반으로 출전 정지 예비 처분을 받았다.[192] 미르코는 어깨 부상 치료를 위해 성장호르몬을 사용했다고 주장하며 은퇴를 발표했다. 그는 성장호르몬이 금지 약물임을 알고 있었지만 다른 치료 방법이 없었다고 해명했다.[192]
2015년 11월 25일, USADA는 미르코에게 2년간의 출전 정지 처분을 내렸다. USADA는 11월 4일 미르코가 인간 성장 호르몬(hGH) 사용을 스스로 인정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193][194] 이후 2016년 1월 8일, 미르코는 USADA로부터 약물 검사 결과가 모두 음성이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미르코의 성장 호르몬 사용 및 소지 인정으로 인해 2년간의 출전 정지 처분은 유지되었다.[195]
8. 업적 및 수상
대회 | 종류 | 내용 |
---|---|---|
킥복싱 | IKBF 세계 헤비급 풀컨택트 왕좌 | |
K-1 GRAND PRIX '99 준우승 | ||
K-1 WORLD GP 2012 우승 | ||
아마추어 복싱 | 지중해 게임 3위 (1997년) | |
군인 세계 선수권 대회 준우승 (1998년) | ||
종합격투기 | PRIDE 무제한급 그랑프리 2006 우승 | |
제4대 IGF 챔피언십 챔피언 | ||
RIZIN FIGHTING WORLD GRAND-PRIX 2016 무제한급 토너먼트 우승 | ||
UFC | UFC 명경기상 (1회) | |
UFC 서브미션 오브 더 나이트 (1회) | ||
PRIDE | 최고의 경기 (2006년/반데레이 시우바전) | |
MMA Fighting | 올해의 경기 (2003년/안토니오 호드리고 노게이라전) | |
올해의 경기 (2005년/페도르 예멜리야넨코전) | ||
올해의 KO (2006년/반데레이 시우바전) | ||
SHERDOG | 올해의 KO (2006년/반데레이 시우바전) | |
야후! 스포츠 | 2000년대 최고의 경기 (2005년/페도르 예멜리야넨코전) | |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 2000년대 최고의 경기 (2005년/페도르 예멜리야넨코전) |
8. 1. 킥복싱
1999년 4월 25일, K-1 REVENGE '99에 출전하여 약 3년 만에 K-1에 복귀했다. '''미르코 "크로캅" 필리포비치'''(Mirko "Cro Cop" Filipović영어)라는 링네임으로 얀 "더 자이언트" 노르키야를 왼손 스트레이트로 4라운드 KO 승리를 거두었다.1999년 6월 20일, K-1 BRAVES '99에 출전하여 GP 예선 1회전에서 리키 니켈슨을 오른손 하이킥으로 1라운드 KO 승리를 거두었다. GP 예선 준결승에서는 자비트 바이라미(Javit Baýramı)에게 연장 1라운드 판정패를 당하며 GP 출전권을 놓쳤지만, 부상 선수 발생으로 추천 출전이 결정되었다.
; K-1 GP 1999 준우승
1999년 10월 3일, K-1 GRAND PRIX '99 개막전에 출전하여 GP 1회전에서 마이크 베르나르도(Mike Bernardo)에게 하이킥으로 첫 번째 다운을 빼앗은 후, 맹렬한 공격으로 두 번째 다운을 빼앗아 1라운드 KO 승리를 거두었다. K-1 4천왕 중 한 명을 꺾은 것으로 단숨에 주목받게 되었다.
1999년 12월 5일 K-1 GRAND PRIX '99 결승전에서는 GP 8강에서 무사시에게 2라운드 KO 승, GP 준결승에서 샘 그레코(Sam Greco)에게 2라운드 KO 승리를 거두고 결승까지 진출했지만, 무사시 전에서 다친 옆구리를 그레코 전에서도 다쳐 갈비뼈가 골절되는 바람에, GP 결승전에서는 어니스트 호스트에게 그 부위를 집중 공격당해 보디 블로우로 3라운드 KO 패를 당하며 그랑프리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후 링네임을 '''미르코 크로캅'''(Mirko Cro Cop영어)으로 변경했다. 과거 다소 마른 체격은 근육을 키워 훨씬 강인해졌고, 포커페이스의 날카로운 얼굴과 어울려 "터미네이터(The Terminator)"라는 별명이 붙었다. 이 무렵부터 실력과 인기를 겸비한 차세대 선수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2000년 3월 19일, K-1 BURNING 2000에서 텐다 히로미(天田ヒロミ)와 대결했다. 전직 폭주족과 현직 경찰관의 대결이었기에, 텐다는 폭주족을, 미르코는 경찰대를 이끌고 입장하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경기는 4라운드에서 미르코의 KO 승리로 끝났다.
2000년 6월 3일, 앤디 훅(Andy Hug)의 모국 스위스에서 열린 은퇴 경기의 상대를 맡았다. 결정타가 부족한 경기였지만, 타격 횟수에서 우세했던 훅이 판정승을 거두었다. 어릴 적부터 훅을 동경했다는 미르코는 모국에서 은퇴하는 훅을 미소로 축하했다.
2000년 10월 9일, K-1 WORLD GP 2000 in FUKUOKA의 GP 예선 토너먼트에서 GP 예선 1회전에서 글라우베 페이토자(Glaube Feitosa)에게 판정승, GP 예선 준결승에서 텐다 히로미에게 판정승을 거두었다. GP 예선 결승전 상대는 마이크 베르나르도였지만, 이 예선 토너먼트의 파이널리스트 2명은 12월 결승 대회에 출전할 수 있었기에, 이미 출전권을 획득한 미르코는 준결승에서 부상을 당한 탓에 결승에서는 무리하지 않고 1라운드 종료 후 스스로 타월을 던져 TKO 패를 선택하며 베르나르도에게 리벤지를 허용했다.
; K-1 GP 2000
2000년 12월, K-1 WORLD GP 2000 결승전에서는 8강에서 어니스트 호스트와 연장까지 가는 접전을 벌였으나, 연장전에서 경기를 리드당하며 0-3으로 판정패를 당했다.
2001년 3월 17일, K-1 GLADIATORS 2001의 피터 아츠(Peter Aerts)전에서는 초반 하이킥과 펀치 러시로 몰아붙였으나, 후반에는 니킥을 맞고 체력이 떨어지며 주춤했다. 결국 클린치 싸움으로 이어진 끝에 미르코가 간신히 이겨 2-0으로 판정승을 거두었다.
2001년 6월 16일, K-1 WORLD GP in MELBOURNE에서는 GP 예선 토너먼트 1회전에서 마이클 맥도널드와 대결했다. 상대를 하위권으로 보고 경기 중 팔을 감는 등의 도발 행위와 여유로운 태도를 보였으나, 클린치 상태에서 맥도널드가 날린 펀치를 턱에 맞고 비틀거리며 곧바로 러시를 받아 1라운드 KO 패를 당하며 예상치 못한 1회전 탈락을 경험했다.
2012년 3월 10일, 모국 크로아티아의 아레나 자그레브에서 개최된 Cro Cop Final Fight에서 킥복싱 복귀 첫 경기를 치러 레이 세포를 3R 판정 3-0으로 승리했다. 대회명이 "Cro Cop Final Fight"이지만 이 경기가 은퇴 경기가 아님을 미르코 본인도 대회 전 기자회견에서 명확히 밝혔으며, 더 나아가 “올해 K-1 GP가 개최된다면 출전하고 싶다”라고 의지를 보였다.[190]
2012년 5월 27일, K-1 RISING 2012~K-1 WORLD MAX FINAL16 2012~에서 로렌 하비에르 호르헤와 대결하여 KO승을 거두었다.
2012년 10월 14일, K-1 RISING 2012 WORLD GP FINAL 16에서 랜디 블레이크와 그랑프리 1회전을 치러 2-0 판정승을 거두었다. 2012년 12월 26일에 뉴욕에서 열리는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그 후, 결승 토너먼트는 다음 해 3월 15일로 연기되었고, 개최지는 미르코의 모국인 크로아티아의 자그레브로 변경되었다.
2013년 3월 15일, K-1 WORLD GP FINAL in ZAGREB에서는 결승 토너먼트 1회전에서 자렐 밀러를 판정승으로 꺾고, 준결승에서는 파벨 즐라리오프를 판정승으로 이겼다. 결승에서는 이스마엘 론트와 대결하여 2R에 자신의 주특기인 왼쪽 하이킥으로 다운을 빼앗고 판정승을 거두며, 과거의 K-1이 아닌 운영이 바뀌고 규모가 축소된 신생 K-1이지만 미르코의 꿈이었던 숙원의 K-1 첫 우승을 모국 크로아티아에서 달성했고, 미르코는 링 위에서 눈물을 흘렸다.
이후, 킥복싱 단체 GLORY와 계약을 맺었다.
2014년 3월 8일, 모국 크로아티아의 아레나 자그레브에서 열린 GLORY14 ZAGREB에서 GLORY 첫 출전을 했다. 레미 본야스키와 재대결하여 0-2 판정패를 당했다.
2014년 6월 21일, GLORY 17에서 자렐 밀러와 재대결하여 판정승을 거두었다.
8. 2. 종합격투기
그는 얼마 지나지 않아 종합격투기로 복귀하면서 은퇴를 번복하였다. 사람들은 그에게 환호를 보내기도 하고 야유를 퍼붓기도 하였다.[19] UFC에 다시 컴백한 그는 가브리엘 곤자가와의 재경기에서 경기 내내 1차전과 똑같은 양상을 보이며 고전을 면치 못하다가 3라운드에서 쓰러진 가브리엘 곤자가에게 펀치와 엘보우 세례를 퍼부으며 TKO승을 거둬 1차전 때의 패배를 설욕하는 이변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이후 UFC에서 나온 뒤 라이진 파이팅 페더레이션 토너먼트전에서 연승 행진을 달리며 메이저급이 아닌 단체에서 활동하는 선수들을 상대로 가볍게 제압할 정도의 실력을 보여주며 자신은 여전히 건재하다는 걸 보여주었다. 2016년 12월 31일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이란의 종합격투기 선수인 아미르 알리아크바리를 상대로 TKO승을 거두며 라이진 파이팅 페더레이션의 토너먼트 우승자가 됨과 동시에 또다시 은퇴를 선언하였다. 그는 이번 은퇴 이후 다시는 은퇴를 번복하지 않고 영원히 격투계를 떠나겠다고 선언하였다.; 종합격투기 첫 도전에서의 이변
2001년 8월 19일, K-1 ANDY MEMORIAL 2001에서 K-1과 이노키 군의 대항전에 출전하여 3분 5라운드 종합격투기 룰로 이노키 군의 에이스 후지타 카즈유키와 대결하였다. 경기는 예상을 뒤엎고, 후지타의 태클에 니킥을 맞춰 큰 출혈을 일으켜 닥터 스톱에 의한 TKO 승리를 거머쥐었다. 미르코는 이 승리가 큰 전환점이 되었다고 언급했으며, 이 이변은 훗날 종합격투기 전향과 PRIDE 출전으로 이어지게 된다.
2001년 10월 8일, K-1 WORLD GP 2001 in FUKUOKA의 패자 부활 토너먼트 출전을 예정했지만, 미국 동시다발 테러 사건 발생의 영향으로 당시 경찰관이었던 미르코는 국내 대기가 되어 GP 출전을 단념했다.
; PRIDE 첫 출전
2001년 11월 3일, PRIDE.17에서 PRIDE에 첫 출전했다. 후지타 전과 같은 룰로 타카다 노부히코와 대결했는데, 타카다가 경기 초반 미르코에게 로킥을 맞고 오른쪽 발꿈치뼈가 골절되어 링에 허리를 숙여 그라운드로 유도하는 작전에 나섰지만, 미르코는 이를 계속 거부하고 이노키 알리 상태로 경기는 종료되어 무승부가 되었다. 미르코는 경기 후 격노하여 "기분이 나쁘다. 타카다는 겁쟁이다.", "후지타는 진짜 파이터다. 타카다는 가짜 파이터다."라고 욕설을 퍼부었지만, 후에 타카다가 발을 골절당했던 것을 알고 사과에 가까운 말을 하고, 서로의 불화는 없어졌다.
2001년 12월 31일, INOKI BOM-BA-YE 2001에서 프로레슬러 나가타 유지와 종합격투기 룰로 대결하여, 경기 시작 21초 만에 왼쪽 하이킥 한 방으로 나가타를 링에 쓰러뜨려 후지타, 타카다, 나가타 3명의 프로레슬러를 쓰러뜨린 것으로 프로레슬링 사냥꾼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 반데라이 제1전
2002년 4월 28일, PRIDE.20에서는 종합격투기 4번째 경기로 PRIDE 미들급 챔피언 반데라이 시우바와 대결하였다. 룰은 3분 5라운드 무제한, 그라운드에서의 교착 상태는 스탠드에서 재개하는, 당시 종합격투기 경험이 부족했던 미르코를 배려한 특별 룰이었다. 또한 양측의 체중 차이를 고려하여 98kg 계약이었지만, 계량 시에는 미르코보다 시우바가 체중이 더 나갔다. 이 경기는 "K-1 vs PRIDE 정상 결전"으로 평가되었다. 미르코의 왼쪽 미들킥이 시우바의 옆구리를 꿰뚫고 보라색으로 부어오르게 한 반면, 시우바도 미르코로부터 여러 차례 테이크다운을 빼앗고 스탠드에서도 타격수로 우세했다. 경기는 규정에 따라 시간 제한 무승부로 끝났다.
; 사쿠라바 전
2002년 8월 28일, 「Dynamite!」에서 사쿠라바 카즈시와 대결하였다. 룰은 미르코에게는 처음인 5분 3라운드제의 PRIDE 특별 룰이었다. 또한 체중은 미르코가 약 20kg 더 무거웠다. 2라운드에 사쿠라바에게 테이크다운을 당했지만, 탈출 시 얼굴에 대한 차기로 사쿠라바의 오른쪽 눈이 부어올라 안와저부 골절의 의심으로 닥터 스톱이 걸려 TKO 승리를 거두었다.
2002년 12월 31일, INOKI BOM-BA-YE 2002에서 후지타 카즈유키와 종합격투기 룰로 재대결하여, 위험하지 않은 경기 운영으로 판정승을 거두었다.
; 종합격투기 경력
종합격투기 |
---|
PRIDE 무제한급 그랑프리 2006 우승 |
제4대 IGF 챔피언십 챔피언 |
RIZIN FIGHTING WORLD GRAND-PRIX 2016 무제한급 토너먼트 우승 |
9. 전적
미르코 크로캅은 종합격투기에서 52전 38승 11패 2무 1무효의 전적을 기록했다. KO/TKO승 28회, 서브미션 승 6회, 판정승 4회를 기록했으며, KO/TKO패 5회, 서브미션 패 3회, 판정패 3회를 기록했다.
2008년 9월 23일 DREAM 6에서 알리스타 오베레임과의 경기는 1라운드 중 오베레임의 로블로 공격으로 무효 처리되었다.[52][53][54][55]
UFC를 떠나 DREAM에서 활동하며,[48][49] 2008년 3월 15일 미즈노 타츠야에게 TKO 승을 거두었다.[50] UFC에서는 시크 콩고에게 판정패, 가브리엘 곤자가에게 KO패를 당했지만,[51] 에디 산체스에게는 TKO 승을 거두었다.
프라이드 시절에는 조쉬 바넷, 반데라이 실바, 요시다 히데히코 등 강자들을 꺾고 프라이드 무차별급 그랑프리 2006 결승전에서 우승했다. 2001년과 2002년에는 이노키 봄바예에서 나가타 유지, 후지타 카즈유키에게 승리했다.
9. 1. 종합격투기 전적
【무차별급 토너먼트 결승】【무차별급 토너먼트 준결승】
【무차별급 토너먼트 2회전】
【무차별급 토너먼트 1회전】
【IGF 타이틀 매치】
【IGF 타이틀 매치】
【무차별급 그랑프리 결승】
【무차별급 그랑프리 준결승】
【무차별급 그랑프리 2회전】
【무차별급 그랑프리 1회전】
【프라이드 헤비급 타이틀 매치】
【헤비급 그랑프리 1회전】
【프라이드 헤비급 잠정 왕좌 결정전】